Search

250108_1731_2025 프론트엔드 개발 방향(Tailwind CSS, Material UI(MUI) 또는 shadcn/ui, Zustand 또는 Jotai, react-query

1. styled-components → Tailwind CSS

styled-components
CSS-in-JS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스타일링.
특정 컴포넌트에 대한 고유한 클래스를 자동 생성해 스타일 충돌 방지.
하지만, 런타임 시점에 CSS를 해석하므로 성능에 다소 부담이 있을 수 있음.
CSS 코드가 자바스크립트와 혼합되므로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가능성 존재.
Tailwind CSS
유틸리티 퍼스트 프레임워크로, 미리 정의된 클래스를 활용해 빠르게 스타일링 가능.
빌드 타임에 스타일을 생성하므로 성능이 뛰어남.
불필요한 스타일을 제거하는 purging 기능으로 번들 크기 최소화.
장점: 컴포넌트 재사용성이 높고, 미리 정의된 디자인 시스템을 따르므로 개발 속도와 일관성이 향상.
단점: 초기 학습 곡선이 존재하나, 익숙해지면 생산성이 급격히 증가.

2. Ant Design → Material UI(MUI) 또는 shadcn/ui

Ant Design
중국 Alibaba 주도로 만들어진 UI 라이브러리.
풍부한 컴포넌트와 높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 제공.
하지만, 디자인 접근성이 MUI보다 낮고 글로벌 커뮤니티 지원이 제한적임.
Material UI (MUI)
Google의 Material Design 가이드를 따르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UI 라이브러리.
접근성, 디자인 일관성, 그리고 글로벌 커뮤니티의 지원이 뛰어남.
TypeScript와의 호환성 및 커스터마이징 유연성이 높음.
장점: 풍부한 문서와 커뮤니티 지원.
shadcn/ui
최신 UI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라이브러리.
Radix Primitives를 기반으로 하며, 모듈식 접근 방식을 제공.
Tailwind CSS와 자연스럽게 통합되므로, 빠른 스타일링 가능.
장점: 접근성과 현대적인 디자인을 중점으로 설계.
단점: 상대적으로 신생 라이브러리로 안정성과 커뮤니티 지원이 MUI보다 약할 수 있음.

3. Redux, Recoil → Zustand 또는 Jotai

Redux
Flux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대규모 상태 관리에 유리하지만, 보일러플레이트 코드가 많아 개발 복잡도 증가.
최신 Redux Toolkit으로 보일러플레이트 문제를 개선했지만, 여전히 복잡한 설정 필요.
Recoil
React 기반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기본적으로 React의 useStateuseContext를 확장한 느낌.
초기 러닝 커브는 낮으나, 글로벌 상태 관리에 있어 성능이 Redux나 Zustand보다 낮을 수 있음.
Zustand
Redux보다 가볍고 간단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React의 Context API 기반으로 작동하며,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
상태 관리 로직을 명확히 정의하며 코드량이 현저히 줄어듦.
장점: 직관적이고 설정이 간단.
Jotai
원자(atom) 단위의 상태 관리를 제공하는 경량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React 상태 관리의 최신 트렌드 반영.
장점: 컴포넌트별 독립적 상태 관리가 가능하며, 러닝 커브가 낮음.
단점: Zustand에 비해 커뮤니티와 플러그인 생태계가 작음.

4. useSWR → react-query

useSWR (Stale-While-Revalidate)
React에서 데이터 페칭 및 캐싱을 처리하는 훌륭한 라이브러리.
API 호출 결과를 캐싱하여 성능 최적화.
하지만, 데이터 페칭과 관련된 기능(예: 데이터 갱신 정책, Mutation 지원 등)이 react-query에 비해 제한적.
react-query
서버 상태 관리에 특화된 라이브러리.
API 호출, 캐싱, 재요청 로직, 에러 핸들링, 백그라운드 데이터 동기화 등 풍부한 기능 제공.
실시간 데이터 갱신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 채팅, 대시보드)에 매우 적합.
장점: 데이터와 UI 상태를 분리하여 코드 가독성 향상.
단점: 복잡한 기능 때문에 간단한 프로젝트에서는 오히려 오버엔지니어링 가능성.

안녕하세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김영광입니다.
관련 기술 문의와 R&D 공동 연구 사업 관련 문의는 “glory@keti.re.kr”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Hello

I'm Yeonggwang Kim from the Korea Electronics Research Institute.
For technical and business inquiries, please contact me at “glory@keti.re.kr”